top of page
Hands Up

CRC 교단 교회 지원 프로그램
Church Support Program

I. 개척 교회

교회개척이 전도에 있어서 세상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많은 학자들이 말하고  있습니다. 본 교단에서 지난 수 십년간의 경험을 통해 개척교회를 통해 수 많은 영혼구원이 이루어진 실적을 보며 개척교회에 대한 많은 투자와 지원을 다음과 같이 행하고 있습니다.


1) 목회자 적성검사
목회자 적성검사 (Assessment Center)를 통해 교회 개척자의 적성과 자질, 준비 상태등을 점검하며, 준비가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하도록 돕습니다.

2) 훈련 프로그램
교회 개척자로서의 준비를 돕기 위해 많은 훈련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Residency프로그램(Formal Internship)은 교단 사역자들을 위한 것이며, Apprenticeship 프로그램(Non-formal Internship)은 본 교단 목회자는 아니나 본교단 교회 개척을 원하는 분들로서 적성검사를 통해 가능성을 인정 받은 분들의 준비과정을 돕는 프로그램이며, Internship program은 칼빈 신학생으로서 개척교회의 경험을 얻기 원하는 자들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입니다.  기간은 대략 6개월 내지 2년 정도로서 이 훈련기간동안 목회자의 생활비 및 기본 경비를 전액 또는 부분적으로 지원합니다.

3) 복음 전도자 훈련 프로그램 (Commissioned Pastors Training Program)
정규 신학교육을 받지 않은 분으로서 본 교단 교회를 수 년간 섬기면서 교회개척과 기성교회의 전도를 전문적으로 돕기 원하는 분들을 위한 3년간의 훈련 프로그램입니다.  현재는 모든 프로그램이 영어로만 진행되고 있지만 앞으로 교회의 지원과 관심여부에 따라 한어 프로그램도 개발해 나갈 계획으로 있습니다.  이 과정을 수료하면 교단 복음 전도자로서의 인허와 교회개척 및 교회 지도자로서 사역할 수 있는 자격을 취득하게 됩니다.
현재 남가주 지역에서는 한인 1.5세/2세 사역자들을 육성 훈련하기 위해 한미노회에서 청소년 사역자 훈련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일정과 문의는 담당자 Andy Choh목사님 (562-404-0289)나 전 지현 목사님 (714-336-7408)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4) 교회 개척학교 (Boot Camp for Church Planters)
교회 개척을 이미 시작하셨거나 준비하고 계신 분들을 위하여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세우도록 도와드립니다.  지난 10년동안 교회 개척 전문가들이 모여 교회개척에 관한 경험과 자원을 모아 개발한 프로그램으로서 교회개척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비젼과 전략을 세우며, 주어진 은사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교회를 세워 나갈 수 있는 방법들을 배우게 됩니다.  자세한 일정과 문의는 한인 사역부 (ckim@crcna.org) 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5) 코칭 (Coaching)
성공적인 교회 개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서 본 교단 모든 교회 개척자들은 코치를 통해 사역과 생활면에 있어서 격려와 기도지원 및 책임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모든 교회개척은 본 교단 교회의 지원 (Sponsoring)을 통해 지원과 책임관계 속에서 교회개척이 이루어 집니다. 이로써 교회개척이 한 개인의 확신과 소명으로서만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왕국을 세우는데 동역관계로서 긴밀한 지원체제 안에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6) 재정지원 (NCD Grants)
위와 같은 준비를 거친 교회개척자들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재정지원이 이루어지는데 이 것은 모교회, 노회, 그리고 교단의 긴밀한 협조와 헌신 아래 이루어 집니다.  교회 개척자가 교회개척에 대한 비젼과 전략, 그리고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정리하여 교회개척 계획서 (NCD Proposal)을 지원교회를 통해 소속 교회에 제출하면 노회에서 심사한 후, 한인 사역부에서 심사하여 국내 선교부로 보내게 됩니다.  국내 선교부에서는 이 계획서들을 전국적인 우선순위와 배분에 따라 조정한 후 매년 2월 말 경 열리는 국내 선교부 이사회에서 최종결정을 하게 됩니다. 교회개척 계획서는 10월까지 노회에 제출되어야 하며 모든 과정에서 허락이 되어질 때에 다음 해 7월부터 지원이 시작됩니다.

 

 

 

 

 

 

 

 

 

 

 

 

 

 

II.  기존 교회

현재 한인 이민교회에게 주어진 임무는 너무나 막중합니다.  교단에 속한 110여 교회의 사역을 돕고 교회 활성화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1)  자문과 교육, 그리고 중재 (Consultation, Education, & Mediation)
교회에서 요청하시면 교회의 새로운 방향설정과 활성화를 위한 여러가지 자문과 교육을 실시합니다.  교회의 비젼과 핵심가치, 그리고 구체적인 사역계획과 운영체제를 확립하는데 필요한 조언과 자원을 제공하고 목회자 청빙과 교회 지도자 훈련등에 대해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특히 교회정치와 교회헌법에 관한 교육을 통해 이민교회에 존재하는 많은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얻고 많은 시행착오를 피하기 위한 통찰력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본 교단 국내 선교부에서 개발한 커피 브레이크는 평신도 지도자들의 육성과 전도뿐 아니라 교회 내 소그룹사역과 셀그룹의 정착에 효과적으로 사용돠어지고 있습니다.  남가주 지역에서 시행된 리더쉽 개발을 위한 Focusing Leaders 프로그램은 목회자의 개발을 통해 교회의 갱신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교회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지도자 훈련과정 (Leadership Development Network, ETP, YLDN)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복음 전도자 훈련과정은 교회 내의 지도자들을 체계적으로 훈련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훈련 기간동안 피 훈련자는 소속교회 담임목사님의 코칭을 받으며 그 교회에 필요한 사역과 지도자 유형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얻어 갑니다.  현재 각 교회에서 가장 큰 필요를 느끼고 있는 청소년 지도자, 유년부 중고등부 지도자, 주일학교 교사들도 한인 1.5세/2세 사역자들을 육성 훈련하기 위한 청소년 사역자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육성하고, 또 서로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지원과 자원활용이 가능합니다.  남가주 교회 협의회에서 매년 행하고 있는 연합 청소년 수련회는 이러한 청소년 지도자들에게 배움터와 사역기회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3) 목회자 개발 프로그램 (Sustaining Pastoral Excellence Program)
본 교단 목회자 개발국 (SPE)은 릴리재단으로부터 기증을 받아 동료간 학습 프로그램(Peer Learning Program)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지역, 목회자의 유형, 사역분야, 또는 사역단계등에 따라 모인 4-8명의 목회자들로 구성된 그룹을 통하여 목회자 개발을 돕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이유는 동료들과 함께 배우는 일이 목회자들의 배움을 강화하고, 책임의식을 높이며, 목회자들이 고립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써 목회에 가장 큰 유익을 얻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함께 배우기로 서약하고 그러한 배움의 내용을 제안하는 계획서를 제출하는 목회자 그룹에 보조금이 제공됩니다. SPE의 집행 팀에서는 제출된 계획서를 심사하여 승인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을 알기 원하시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 바랍니다.

Michael Bruinooge, 전화 1-877-279-9994
pastoralexcellence@crcna.org,  또는 www.crckc.com (한어 자료실)
Christian Reformed Church
2850 Kalamazoo Avenue SE
Grand Rapids, MI 49560, USA
Box 5070
3475 Mainway, P.O.
Burlington, ON L7R3Y8, Canada

4) 기존 교회 지원 프로그램 (Partnership Funds for ECD)*
기존 교회의 특수한 상황에서 성장과 활성화를 돕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 프로그램, 전도 프로그램등을 통해 많은 영적수확을 거두어 드릴 수 있는 기회와 가능성이 있을 때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정리하여 지원 청원서를 소속 교회에 제출하면 노회에서 심사한 후, 한인 사역부에서 심사하여 국내 선교부로 보내게 됩니다.  국내 선교부에서는 이 계획서들을 전국적인 우선순위와 배분에 따라 조정한 후 매년 2월 말 경 열리는 국내 선교부 이사회에서 최종결정을 하게 됩니다. 이 청원서는 10월까지 노회에 제출되어야 하며 모든 과정에서 허락이 되어질 때에 다음 해 7월부터 지원이 시작됩니다.*
(* 이 프로그램과 다음 소규모 교회를 위한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매년 시행되는 교단 연감정보 제출과 교단 사역 분담금에의 참여가 요구됩니다.)

5) 소규모 교회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Smaller Churches Support Programs)
현재 개척교회 지원 프로그램, 기존 교회지원 프로그램이나 Smaller Church, 또는 Heritage Church의 혜택을 받고 있지 않는 교회로서 18세 이상 교인 수가 150명 이하이거나 18세 이상 등록 세례교인 수가 100명 이하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 목회자 연장교육 보조 (Continued Education Assistance)
목회자나 교회 지도자가 목회교육 프로그램, 웍샵, 컨퍼런스, 교재등에 지출한 경비로서 교회 카운실이 승인하고 이 교육이 전도와 교회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이라는 명확한 설명이 지원서에 기입되어야 합니다.  승인될 경우 지출된 경비의 2/3를 600불까지 교회로 환불해 드립니다.

나. 기술지원 보조 (Technology Assistance)
교회가 예배와 전도활동을 위하여 컴퓨터, 복사기, 전화기, 앤서링 머신, 홱스, 프로젝터나 기타 기술품목을 구입한 경우 그 경비의 2/3을 800불까지 환불해 드립니다.

다.  전도 프로그램 지원 (Program Support)
교회의 성장과 활성화를 위한 특별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전도전단, 홍보, 커피브레이크 교재, 전도집회, 청소년 사역자, 청소년 집회등의 경비를 2/3를 5,000불까지 교회로 지원해 드립니다.

이 중 목회자 연장교육 보조 (Continued Education Assistance)와 기술지원 보조 (Technology Assistance Grant) 는 경비를 지출 하신 후에 영수증과 함께 이 신청서를 작성하셔서 한인 사역부로 보내 주시면 됩니다. 전도 프로그램 지원 (Program Support) 경우에는 지원서 내용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교회의 사명 선언문, 재정관계 서류 (금년도 결산과 내년 예산에 지원하는 액수가 산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스탭 충원을 위한 것일 때에는 그 직책의 job description도 포함시켜서 (모든 서류가 영문으로 작성되어야 함) 노회의 국내 선교부에 보내셔야 합니다.  국내 선교부가 허락한 후에 한인 사역부로 보내져서 그 이후 처리하게 됩니다.  작성하는 과정에 질문이 있으시거나 구체적인 도움이 필요하시면 한인 사역부로 전화 주시기 바랍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