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creen Shot 2020-09-22 at 6.30.00 PM.png

십계명에 대한 이번 Fall 2020 리폼드 잉클링스는 강영안 교수님의 책 <십계명 강의>와 무신론자 필 주커만의 <종교 없는 삶>을 함께 읽고, 교회가 그동안 놓친 것이 무엇인지 깊이 고민해 보고, 십계명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으로 어떻게 신앙의 길을 걸어가야 하는지, 또 어떻게 교회 모습을 그려나가야 하는지 함께 생각하고 나누며 배우는 시간입니다.

강사: 강영안 교수 (미 칼빈신학대학원 철학신학 교수)

강의 내용:

Part 1. 서론과 1계명

Part 2. 2계명과 3계명

Part 3. 4계명과 5계명

Part 4. 6계명과 7계명

Part 5. 8계명과 9계명

Part 6. 10계명과 마무리

장소: ONLINE (등록하시는 분들께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일시: 10월 7일(수)부터 11월 11일(수)까지 매주 수요일

           동부시간 오후 1시 - 3시 / 서부시간 오전 10시 - 오후 12시

교재: 십계명 강의, 종교 없는 삶

참가비: $30 (교재 포함)

문의: catherynjo@crcna.org, ckim@crcna.org

 

등록하기 원하시면, 아래를 Click 해 주세요!

Sponsored by

CRC 북미주 개혁교회

Grace & Mercy Foundation

Calvin Theological Seminary

Resonate Global Mission

교재 

<강영안 교수의 십계명 강의>강영안 저

십계명 강의.jpeg

십계명의 귀환, 물질·성취·탐욕적 삶의 변혁을 촉구하다!

 

십계명에 담긴 반우상주의, 안식의 가치, 생명/타자 존중 사상은 오래된 ‘21세기적 가치’이자 한국 교회가 되살아 내야 할 삶의 윤리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 교회는 실제적 무신론, 종교적 배타주의, 물질적 성공주의에 빠져 있다. 입으로는 하나님을 믿는다 고백하지만 삶에서는 신앙의 열매가 윤리적·도덕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다(실제적 무신론), 다른 가치와 다른 종교에 대해 지나치게 폐쇄적이며(종교적 배타주의), 성공과 번영을 최고 가치로 여기는(물질적 성공주의) 문제가 심각하다.

 

이 책은 오늘 한국 기독교가 처한 이런 상황에서 인문학자의 눈으로 계명 중의 계명 ‘십계명’에 담긴 가치와 사상을 다시 성찰하여 풀어줌으로써, 한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진정 변화된 존재의 삶, 자유의 길로 나서기를 깊은 울림을 담아 촉구한다.

 

<종교 없는 삶> 필 주커만 저

종교없는 삶.jpeg

필 주커만은 무신론자 학자이다. 오늘날 북미와 북유럽의 탈종교 현상을 지속해서 연구해온 필 주커만은 <종교 없는 삶>에서 종교가 없이도 충분히 도덕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런 삶의 태도를 적극 옹호하고 소개한다. 저자는 여러 통계 자료를 제시하면서 무종교인들이 종교를 가진 이들보다 훨씬 더 책임감, 자율성, 공감 능력이 강하고, 실제로 타자를 배려하고 용납하는 도덕감도 강하다고 말한다. 왜 종교없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걸까? 

​강영안 교수 프로필

KakaoTalk_Photo_2018-07-13-11-04-49.jpeg

​주요 저서

 

『타인의 얼굴』(문학과 지성사, 2005)

『인간의 얼굴을 가진 지식』(소나무, 2002)

『우리에게 철학은 무엇인가』(궁리, 2002)

『강교수의 철학이야기』(IVP, 2001)

『도덕은 무엇으로부터 오는가』(소나무, 2000)

『자연과 자유사이』(문예출판사, 1998)

『주체는 죽었는가』(문예출판사, 1996)

『칸트의 형이상학과 표상적 사유』(2009)

『철학은 어디에 있는가』(2012)

『어떻게 참된 그리스도인이 될 것인가』(한길사)

『신을 모르는 시대의 하나님』

『종교개혁과 학문』(SFC출판부)

『묻고 답하다』(홍성사)

『몸.영혼.정신』

『급변하는 흐름 속의 문화』(서광사)

『믿는다는 것: 묻고 응답하고 실천하는 믿음』(2018)

강영안(1952년 1월 3일, 경남 사천 출생)은 서강대학교의 철학과 교수였으며, 기독교 철학자이다. 그는 고려신학대학(현 고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던중에 철학에 심취되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네덜란드어와 철학을 전공하였다. 벨기에 정부 초청 장학생으로 유학을 떠나 루뱅 대학교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에서 다시학부 과정부터 박사학위 과정까지 철학을 공부하였다.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교 철학부 전임강사, 계명대 철학과 교수를 하였다.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서강대 학생처장, 교양학부 학장, 문학부 학장, 국제인문학부 학장, 인문과학연구원 원장, 철학연구소장을 역임하고 은퇴를 하였다. 벨기에 루뱅대학교 초빙 교수로 레비나스를 연구하였고, 미국 캘빈 칼리지 철학과 초빙 정교수로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을 강의하였다. 사단법인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공동대표와 한국칸트학회와 한국철학회, 그리고 한국기독교철학회의 회장, 대한철학회 회장, 인문학대중화위원회 위원장, 학교법인 고려학원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두레교회와 주님의 보배교회 장로로 섬겼다. 손봉호박사와 함께 한국에서 기독교 철학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 칼빈 신학교(Calvi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철학신학(Philosophical Theology) 담당 교수로 임용되었는데, 은퇴한 존 W. 쿠퍼(John W. Cooper) 교수의 후임으로 2017년 2학기부터 재직중이다.

bottom of page